Github 라이센스 정리
깃헙에서 오픈소스 레파지토리를 보면 항상 보던게 있다. 오픈소스에 해당하는 라이센스의 최소한의 기준을 정의하기 위해 OSD(Open Source Definition)를 정의해두고 이 정의에 따라 인증, 관리 및 촉진시키고 있다고 한다. License List GNU General Public License(GPL) 2.0 GNU Lesser GPL(L
깃헙에서 오픈소스 레파지토리를 보면 항상 보던게 있다. 오픈소스에 해당하는 라이센스의 최소한의 기준을 정의하기 위해 OSD(Open Source Definition)를 정의해두고 이 정의에 따라 인증, 관리 및 촉진시키고 있다고 한다. License List GNU General Public License(GPL) 2.0 GNU Lesser GPL(L
원격 저장소를 fork해서 사용하다보면,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가 필요할 때가 있다. 이제 그 과정을 따라가보자. 현재 원격 저장소를 fork해두고, fork한 저장소를 로컬로 clone한 상황이다. 이 상태에선 원격 저장소의 브랜치 목록을 확인할 수 없다. git remote -v 명령어로 깃 저장소를 확인해보면, 로컬 저장소만 가리키고 있다. 따라
위에서 작성된 스테이징 방식(git add file)이 파일 단위라면, 여기서 언급되는 스테이징 방식은 작업의 변경사항 단위로 스테이징하는 방법이다. 하나의 파일 안에서도 변경한 부분이 몇 가지가 될 수 있는데, 이 때 git add file 을 사용하면 파일이 통째로 스테이징된다. 그러나 git add -p 를 사용하면 변경사항 단위로만 스테이징 할
Github Credential이란 Github의 계정정보를 말한다. 저장소에 push/pull 하거나 private 저장소를 clone하기 위해서는 해당 저장소를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한데 이 때 credential에 계정 정보를 저장해두면 저장소 이용시마다 로그인할 필요가 없다. 터미널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1234git config cre
이럴 일이 어느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지 잘 모르겠으나 개인적으로는 원격 저장소와 로컬의 히스토리간의 충돌이 발생했을 때 종종 사용했다. 한 2번..? 정도 사용해본 것 같은데, 일단 알아두면 유용할 것 같아서 남겨본다. 로컬 저장소가 바라보고 있는 원격 저장소의 url을 보는 방법은 다음의 명령어로 확인가능하다. 1git remote -v 그게 현
Sourcetree같은 git 전용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면 쉽게 커밋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다. CLI 환경에서 이와같은 그래프를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1$ git log --oneline --graph --all --decorate 커밋 객체가 타임라인 순으로 보여진다. 브랜치명을 이름으로 구분해놓고 작업중이어서 개인정보 보호차원에서 가려놨
본 포스트는 코드 스쿼드의 커밋하면 스테이지의 내용은 어디로 갈까를 시청하고 정리한 포스트입니다. 목차 Intro git status git commit 버전관리 소트트웨어인 Git은 객체로 구성되어 있다. Git을 구성하는 객체는 다음과 같다. Commit 우리가 가장 신경써야할 Commit(커밋) 이다. Tree 커밋에 포함된 파일 목록.
git의 원격 저장소를 github으로 사용하였으며, MacOS에서 실행하였습니다. Github에 가입했다면, 프로필 사진 옆의 + 버튼을 클릭해서 저장소(Repository)를 생성하자.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다. 저장소 이름을 입력하고, 저장소를 설명하는 글도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이전 포스트에서도 이야기했지만, pu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