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Boot에서 H2 데이터베이스 사용하기
h2데이터 베이스란 컴퓨터에 내장된 램(RAM)메모리에 의존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말한다. 램에 의존하기 때문에 테스트 또는 지금의 나처럼 실습을 위해서는 간편하고 빠르기 때문에 좋은 옵션이 될 수 있다. 다만, 램에 데이터를 저장하다보니 웹서버를 재부팅하면 기존의 데이터가 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때엔 테스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sql로
h2데이터 베이스란 컴퓨터에 내장된 램(RAM)메모리에 의존하는 데이터베이스 를 말한다. 램에 의존하기 때문에 테스트 또는 지금의 나처럼 실습을 위해서는 간편하고 빠르기 때문에 좋은 옵션이 될 수 있다. 다만, 램에 데이터를 저장하다보니 웹서버를 재부팅하면 기존의 데이터가 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때엔 테스트에 필요한 데이터를 미리 sql로
@GetMapping 어노테이션은 HTTP GET 요청을 처리하는 메서드를 맵핑(@RequestMapping) 하는 어노테이션이다. 메서드(url)에 따라 어떤 페이지를 보여줄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스프링부트에서는 어떤 HTTP 메서드를 사용할지에 따라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아래의 어노테이션으로 구분해서 제공한다. Reques
Medium을 이용하다보면, 해당 아티클을 읽는데 몇 분이 소요되는지 알려주는 아이콘이 있는데, 이걸 내 블로그에도 적용시켜보고 싶었다. 그러다 우연히 Eric Han님의 블로그에서 방법을 찾게되어 허락을 구하고 공유하게 되었다. 순서는 아래와 같다. 플러그인 설치 _config.yml 설정 코드 작성 플러그인 설치1$ npm install hexo
광고배너를 삽입(포스트: hexo블로그에 쿠팡광고 적용하기)해보면서 Hexo 프레임워크에 대해 훨씬 더 이해를 하게되었다. ejs 파일 형식에 대해 잘 모르지만, ejs 파일들을 보니 자바스크립트 코드로 구성되어 있었다. 짧게 구글링해보니 ejs는 Embedded JavaScript의 약자로 자바스크립트가 내장된 템플릿엔진이라는 설명을 보았다. 그래서
구글 애드센스를 일주일정도 적용해보았는데 클릭당 $ 0.1 이 수익으로 발생하는 것 같았다. 이 정도로는 지나치게 작은 수익을 위해 블로그의 분위기를 해치는(?) 광고를 삽입하는 것 같아서 다른 광고를 찾아보았다. 그래서 찾은게 쿠팡 파트너스이다. 쿠팡 파트너스는 구글 애드센스와 달리 클릭만으로는 수익을 지급하는 것과 달리 광고배너를 통해 접속한 유저가
최근 몇개월간 진행한 프로젝트 스터디를 마무리했다. 뿌듯함보단 아쉬움이 남는 스터디였다. 프로젝트를 시작하고 나서 부족한 실력때문에 몇번씩 좌절감을 맛보았던게 아직도 기억이 난다. 그래도 포기하지않고, 어찌어찌 마무리한건 다행이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버전관리로 git을 이용했는데, 처음 시작할때 메세지를 잘 작성하자고 약속했지만, 막상 이를 지키지 못
Hexo 블로그를 운영하며, 댓글 라이브러리로 Disqus를 사용했었는데, 현재 내 블로그를 접속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개발자들일 것이고, 개발자들이라면 Github UI가 익숙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Disqus대신 Github UI를 경험할 수 있는 Utterances 라이브러리를 블로그 댓글로 사용해보기로 결정하였다. 아웃사이더님
우분투를 GUI가 아니라 CLI로 사용다가 파일을 다운받아야 할 상황이 발생하곤 하는데, 이 때 사용하는 패키지가 wget 이다. 1$ sudo apt-get install wget 1. 우분투로 전송받을 파일을 구글 드라이브에 업로드한다. 업로드된 파일의 공유가능한 링크를 클립보드로 가져온다(복사) 클립보드에 담긴 url중 id부분만 아래의
이전에 작성한 쉘에서 SSH 키를 생성한 후, 이를 Github에 저장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위키백과에 의하면, 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 상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하거나 Github과 같은 원격 시스템에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라고 한다. SSH는 암호화되어 통신하기 때문에 통신이 노출되더라도
깃헙에서 오픈소스 레파지토리를 보면 항상 보던게 있다. 오픈소스에 해당하는 라이센스의 최소한의 기준을 정의하기 위해 OSD(Open Source Definition)를 정의해두고 이 정의에 따라 인증, 관리 및 촉진시키고 있다고 한다. License List GNU General Public License(GPL) 2.0 GNU Lesser GPL(L